전체 글39 닭도리탕의 도리는 일본어인가? 우리가 즐겨 먹는 닭도리탕이라는 음식의 명칭에서 '도리'가 일본어라는 말이 있다. 아마도 이런 이유로 언어순화를 위해 닭도리탕으로 표기하는 대신 닭볶음탕으로 표기하는 식당이 많은데 과연 닭도리탕의 '도리'는 일본어일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닭도리탕' 어원에 대해 '닭'+'니와도리(にわとり, 鷄)'+'탕(湯)'이라고 싣고 있다. ‘니와도리(니와토리)’는 ‘닭’을 뜻하는 일본어인데, [니와(뜻: 마당, 뜰)의 도리(뜻: 새)]라는 의미로 구성된 합성어이며, ‘니와도리’의 축약형인 ‘도리’만 남아 ‘닭도리탕’의 단어 구성 요소가 된 것이라고도 첨언한다. 하지만 항간에서는 국립국어원의 이러한 해석을 부정한다. 부정하는 측의 주요 요지 및 근거는 이렇다. 우선 '도리탕'이라는 요리는 1920년대 문헌.. 2023. 3. 1. 전역과 제대는 같은 말인가?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은 전역과 제대라는 용어를 쓰는 경우가 있다. 흔히 둘 다 병역의무인 군생활을 마친다는 의미로 이해하여 둘을 혼용하는데, 과연 전역과 제대가 같은지 살펴보자. 우리나라 병역체계에서는 병역법에 따라 병역의무자는 징집되어 현역에 복무하고 복무기간이 끝나면 예비군법에 의해 예비역으로서 예비군으로 편성된다. 마지막으로 민방위는 현역부터 예비군 복무까지 마친 사람을 대상으로 한 민간인 신분으로 민방위사태에 대해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의 지도하에 주민이 수행하여야 할 방공(防空), 응급적인 방재(防災)ㆍ구조ㆍ복구 및 군사 작전상 필요한 노력 지원 등의 모든 자위적 활동인 '민방위'를 수행한다. 그럼 우선, '전역'과 '제대'의 사전적인 의미는 어떠한가? 표준 국어 대사전에는 .. 2023. 3. 1. [기독교] 3대 성모발현 기독교에서 하늘에 있는 성모 마리아가 세상에 드러내는 일을 성모발현이라고 한다. 다수의 성모발현 성지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교황청이 인정한 성모발현 성지 중 유명한 3대 성모 발현지 멕시코의 '과달루페(Guadalupe)', 프랑스의 '루르드(Lourdes)', 포르투칼의 '파티마(Fatima)'에서 발생한 성모발현을 소개한다. 멕시코 '과달루페(Guadalupe)' 성모발현 1531년 12월 멕시코, 가톨릭으로 개종한지 얼마 되지 않은 원주민이던 후한 디에고는 성당을 가기 위해 지역의 테페약 언덕을 넘던 중 갈색 피부, 검은 머리의 파란색 망토를 둘러 쓴 여성을 만난다. 자신을 성모 마리아라고 소개한 여성은 디에고로 하여금 테페약 언덕에 성당을 세우라는 지시를 하고 디에고는 이를 당시 지역 주교 후안.. 2023. 2. 28. 주택담보대출 규제 일반 서민이라면 집을 살 때 대부분 대출을 활용하여 집을 산다. 이때 등장하는 용어들로 LTV, DTI, DSR 등 주택담보대출 규제와 관련한 용어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대출을 알아보거나 상담받을 때 몰라서 어리버리 하지 않도록 잘 숙지하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택담보 대출규제로는 LTV, DTI, DSR이 있다. 이 중 LTV는 Loan To Value ratio의 약어로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DTI는 Debt To Income의 약자로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DSR은 Debt Service Ratio로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이다. 이들을 각각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2023. 2. 28. 수입과일에 붙어있는 스티커 숫자 오렌지, 바나나 등 수입되는 과일의 겉면에는 스티커가 붙어 있고 스티커에는 숫자가 쓰여있다. 이들 숫자에는 정해진 의미가 있다고 하는데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자. 과일에 붙은 스티커의 숫자는 '국제농산물표준연합(IFPS)'가 관리하는 'Price-Look up, PLU 코드', 즉 가격 확인 코드로 슈퍼마켓 등에서 농산물을 쉽게 관리하고 계산하기 편하도록 품종에 따라 무작위로 할당된 번호로 4~5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스티커에 3이나 4로 시작하는 4자리 숫자는 화학비료로 재배된 과일이나 야채를 의미한다. 그리고 9로 시작하는 5자리 코드는 유기농 제품이라는 뜻이다. 8로 시작하는 5자리 숫자가 유전자 변형제품(GMO)을 뜻하는 것으로 인터넷 등에 많이 알려져 있으나, IFPS 측에 따르면 당초 G.. 2023. 2. 28. 드라이아이스 흰 연기의 정체 냉장고가 없는 상태에서 식품을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쓰이는 드라이아이스. 드라이아이스에서 많은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본 적 있을 것이다. 이 연기의 정체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드라이아이스가 이산화탄소(CO2)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아마도 이 연기는 고체인 드라이아이스의 물리적 상태가 기체로 변한 이산화탄소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사실 드라이아이스에서 발생하는 이 흰 연기의 정체는 수증기(H2O)이다. 드라이아이스는 1기압 상온에서 물리적 상태가 기체인 이산화탄소(CO2)를 압축/냉각하여 만든 고체로서 1기압에서 승화점*이 영하 78.5℃이기 때문에, 보통 영하 18~20도인 냉동실에 보관하더라도 승화되어 이산화탄소(CO2) 기체로 변한다. 드라이아이스는 이러한 승화를 거칠 때.. 2023. 2. 28. 철로의 너비 기차의 길이 되는 철로의 너비는 얼마나 될까. 나라마다 다르지만 1,435mm의 너비가 기준이 되는 표준궤라고 한다. 전 세계 철로 길이의 60% 가량이 이 표준궤이며, 나머지는 이보다 넓을 수도 있고 좁을 수도 있다. 그러면 어쩌다 이러한 길이가 기차 철로의 표준궤가 되었을까. 이 길이는 말 두마리두 마리 엉덩이 폭으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하는 하나의 설이 있다. 고대 로마군대의 전차는 말 두 마리가 끌었기 때문에 로마는 이것을 기준으로 로마가 정복한 지역의 도로를 만들었다. 시간이 지나 이것이 마차가 다니는 길 너비의 기준이 되었고 나중에는 급기야 기차의 선로의 너비가 되었다. 마차의 폭, 즉 마차의 궤간을 최초로 표준화한 나라는 1825년 최초로 철도를 운행한 영국이다. 표준궤가 여러 다른 철로 너비보.. 2023. 2. 28. 벌금 vs. 범칙금 vs. 과태료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의도치 않게 법률을 위반하여 그 결과로 일정 금액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일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쓰이는 용어들이 몇 가지 있어 그들을 구별해 보고 그에 따른 법적효과도 숙지해 보면 어떨까 한다. 벌금, 범칙금, 과태료 모두 금전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법적 성질과 그 효과가 다르다. 벌금 벌금은 국가가 범죄를 저지른 범인에게 부과하는 형벌의 일종이므로, 벌금형의 처벌을 받게 되면 전과(범죄경력)가 남게 된다. 공무원으로 임용되려는 사람이나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벌금의 처벌을 받게 되면 임용이나 취업이 제한되는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범칙금 경미한 법 위반 행위에 대하여 부과되는 것으로 행정상의 .. 2023. 2. 27.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