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9 출생률과 출산율 지난 22일 통계청이 우리나라의 2022년 합계출산율을 '충격적인' 수치인 0.78명으로 발표했다. 이것은 OECD 국가 가운에 압도적인 꼴찌이다. 이처럼 기록적인 출산율 수치는 여러 사람에 회자되는데, 정작 출생률*과 출산율* 간의 정확한 차이를 알고 있는 이는 많지 않은 듯하다. * 율과 률은 둘 다 명사에 붙어서 '법칙' 또는 '비율'의 뜻을 더하는 한자로, 모두 같은 한자 率/律를 사용. 보통 앞단어에 받침이 없거나 'ㄴ' 받침이면 '율'을, 받침이 있으면 '률'을 쓴다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은 가임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의 수를 의미하는 지표다. 뉴스에서 합계출산율 1.03이라는 소식을 듣게 되면 우리나라 여성들은 평균적으로 평생 1.03명을 낳.. 2023. 2. 27. [NBA] 왜 공을 잡지 않고 굴리는가? 미국 프로농구인 NBA를 보다 보면 가끔 상대팀이 슛을 성공시킨 뒤 공을 엔드라인에서 인바운드 할 때 공을 받는 선수가 공을 잡지 않고 굴러가도록 두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 NBA에는 샷클락(Shot Clock)이라는 규칙이 있다. 이는 공격권을 소유한 팀이 24초 안에 필드슛을 해야 한다는 규칙이다. 필드슛은 24초 계시기(샷클락)의 신호가 울리기 전에 공이 손에서 떠나 림에 닿거나 바스켓에 들어가야(슛의 성고) 한다. 이에 반해 게임클락(Game Clock)은 게임 또는 해당 쿼터(Quarter)의 전체 남은 시간이다. 게임클락은 기본적으로 심판 휘슬이 불리면 멈추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필드골이 들어가도 심판이 휘슬을 안 불기 때문에 게임클락은 흘러간다. 반면에 샷클락은 인.. 2023. 2. 27. 도로 위 다양한 차선의 종류와 기능 도로상에는 여러 정보가 다양한 색깔과 모양의 기호로 표시되어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정보를 주거나 지시를 하게 된다. 여러 기호 중 이번 글에서는 도로상 다양한 선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흰색 선 흰색 점선 : 차선 변경이 허용되는 구간. 흰색 점선과 흰색 실선의 이중선 : 점선 쪽에서 실선 방향으로 차선 변경이 가능한 구간으로 보통 고속도로 출구 및 합류 지점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실선 쪽에서 점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법. 흰색 실선 : 차선 변경이 금지 되는 구간. 보통 터널 안이나, 다리 위 등에서 볼 수 있음. 터널이나 다리에서 무리하게 차선 변경 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감안해 흰색 실선 적용. 흰색 이중실선 : 하나의 실선보다 강력하게 차선 변경을 금지. 차선 변경.. 2023. 2. 26. 교차로 신호위반 단속카메라 단속 시점 자동차를 주행하다 보면 신호위반 단속 카메라가 설치된 교차로를 지날 때가 있다. 파란불에 지나갈 때도 있지만 노란불, 빨간불 등에 지나치는 경우도 간혹 발생하는데 이때 애매하여 위반 여부가 궁금할 때가 있다. 교차로 신호위반 단속카메라가 언제 단속을 하는지 살펴보자. 교차로 신호(속도) 위반 단속카메라는 주카메라, 보조카메라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정지선 근처 바닥에 센서가 있다. 우선, 노란색 신호에 정지선을 통과하는 경우 이 때는 그냥 교차로를 지나쳐도 카메라에 단속되지 않는다. 실제로 도로교통법 상에도 이미 노란불에 이미 교차로에 진입한 경우라면 신속히 교차로 밖으로 진행하라고 되어있다. 물론 노란색불이라면 교차로 진입하기 전 정지선 전에서 멈추는 것이 가장 좋다. 두 번째로 빨간불에 정지선을 통과하.. 2023. 2. 26. 운동화의 마지막 나란히 있는 구멍의 용도 운동화의 끈을 아래서부터 묶다 보면 발목 가까운 쪽에 구멍이 나란히 있는 것을 보고 의아해한 경우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통 마지막 구멍은 끈을 넣지 않고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 쓸모없어 보이는 구멍의 용도는 무엇일까? 우선 이 구멍은 신발끈에 좀 더 텐션을 주어 타이트한 착용감을 줌으로써 운동화 착용에 따른 피로감을 낮추는 용도로 고안되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운동화를 신고 벗을 때는 오히려 불편감을 줄 수 있으므로 러닝 할 때 기능성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구멍은 원래 아식스(asics) 사가 실용신안으로 출원한 것인데 권리 기간이 종료되어 현재는 많은 브랜드의 운동화에 적용되고 있다. 묶는 방법은, 마지막 두 구멍의 첫 번째 구멍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끈을 넣은 뒤 마지막 구멍의 바.. 2023. 2. 26. 플라스틱 소재의 종류 및 유해성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플라스틱이라고 해서 다 같은 재료의 플라스틱이 아니다. 소재에 따라 플라스틱을 구분하고 다시 사용하기에 비교적 안전한 플라스틱 소재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자. 플라스틱 용기 겉면을 보면 삼각형 모양의 회전하는 화살표(재활용 마크) 안에 숫자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재활용을 위한 분류 목적의 표시로 이를 기초로 소재를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유해성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1번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PET 혹은 PETE로 표기된다. 생수병처럼 투명한 용기와 달리 단단하고 불투명한 PET인 경우 함유된 화학성분을 확인하기 어렵다. 실제로 많은 경우에 PET 물병을 재활용하고 있으나 투명 여부와 별개로 PET 용기는 박테리아 번식이 쉬우므로 재활용을.. 2023. 2. 21. 복합기 내 주요 소모품 사무실에서 인쇄를 할 때 사무실 직원끼리 공유하는 경우라면 주로 복합기라는 기계를 쓴다. 복합기 안에는 소모품이 있는데, 사용을 하다보면 이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교체를 알리는 메시지를 보고도 정작 어떤 소모품을 교체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어 이번 글에서는 복합기 내 주요 소모품을 설명하고자 한다. 복합기라는 것은 인쇄, 복사, 팩스, 스캔 등의 기능을 합쳐놓은 사무기기를 말한다. 보통 네트워크 상에 있어 물리적인 코드 연결없이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인쇄를 하거나 복사 또는 스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복합기를 사용하면서 전문인력이 아닌 사무실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필요가 있는 주요 소모품을 아래와 같다. * 카트리지(cartridge)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는 필요할 때 다른 장치에 .. 2023. 2. 21. 이전 1 2 3 4 5 다음